개발 문서(112)
-
윈도우에서 winget으로 VS Code 업그레이드 시 발생하는 오류 해결 방법
문제 상황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VS Code를 업그레이드하려고 할 때:winget upgrade --id Microsoft.VisualStudioCode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2025-04-10 10:18:32.511 [CLI ] ShellExecute installer failed: 12025-04-10 10:18:32.512 [CLI ] Terminating context: 0x8a150006 at C:\__w\1\s\external\pkg\src\AppInstallerCLICore\Workflows\InstallFlow.cpp:223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합니다:권한 문제 (관리자 권한 부족)VS Code가 현재 실행 중인 상태winget 캐시 손상인스톨러 파..
2025.04.10 -
relativedelta를 이용한 파이썬에서 유연한 날짜 연산하기
날짜와 시간을 다루는 것은 백엔드 개발에서 피할 수 없는 과제입니다. 파이썬의 표준 라이브러리인 datetime만으로는 복잡한 날짜 계산이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이럴 때 dateutil 패키지의 relativedelta 클래스가 구원자가 되어줍니다. 오늘은 이 강력한 도구의 특징과 활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relativedelta란?relativedelta는 Python의 dateutil 패키지에 포함된 클래스로, 날짜와 시간의 상대적인 차이를 계산하고 조작하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표준 라이브러리의 datetime.timedelta와 비슷하지만, 훨씬 더 다양한 날짜 연산이 가능합니다.설치 방법pip install python-dateutil2. relativedelta의 주요 ..
2025.04.09 -
파이썬의 List와 Dict 속도 차이 분석
백엔드 개발에서 자료구조 선택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파이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자료구조인 리스트(list)와 딕셔너리(dict)의 속도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효율적인 코드 작성에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자료구조의 내부 구현 방식을 살펴보고, 이로 인한 성능 차이와 실제 백엔드 개발에서의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내부 구현 방식의 차이리스트(List)의 구현파이썬의 리스트는 동적 배열(Dynamic Array)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이는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요소들이 저장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메모리 할당: 리스트는 초기 생성 시 일정한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받고, 용량이 부족해지면 더 큰 메모리 블록을 새로 할당받아 기존 데이터를 복사합니다.인덱싱: 리스트는..
2025.04.09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P) 마스터하기: 코딩테스트 완벽 가이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딩테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알고리즘 패러다임 중 하나인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DP)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DP는 처음 접하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고 충분히 연습한다면 코딩테스트의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목차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이란?DP의 핵심 원리DP 접근 방법: Top-down vs Bottom-up대표적인 DP 문제 유형과 풀이DP 문제 해결 전략연습 문제 추천마무리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이란?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은 복잡한 문제를 여러 개의 작은 부분 문제로 나누어 해결하고, 그 결과를 저장해두었다가 재활용하는 알고리즘 설계 기법입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같은 계산을 반복하는 것을 피하게 해주어 시간 복잡도를 크게..
2025.03.24 -
Django REST Framework: Serializer의 Partial Update?
Django REST Framework(DRF)를 사용하다 보면 데이터의 부분 수정(Partial Update)을 처리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 Serializer의 partial 옵션을 활용하면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erializer의 partial이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Partial Update란?Partial Update는 말 그대로 객체의 일부 필드만을 수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체 데이터를 수정하는 PUT 요청과 달리 PATCH 요청을 통해 일부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PUT: 객체의 모든 필드를 업데이트해야 함.PATCH: 객체의 일부 필드만 업데이트 가능.Serializer에..
2025.03.17 -
Base64란 무엇인가?
Base64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으로 인코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주로 바이너리 데이터를 이메일, 웹 페이지 등 텍스트 기반 환경에서 안전하게 전송할 때 사용됩니다. Base64라는 이름은 이 인코딩이 데이터를 표현할 때 64개의 문자(A-Z, a-z, 0-9, '+', '/')를 사용하기 때문에 붙여졌습니다.왜 Base64를 사용하는가?Base64 인코딩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손상 없이 전송하거나 저장하기 위함입니다. 바이너리 데이터를 이메일이나 웹 페이지의 HTML, JSON 등과 같은 텍스트 기반 포맷에 직접 삽입하면 데이터가 깨지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너리 데이터를 Base64로 인코딩하여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주요 사용 사..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