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문서/React(11)
-
Jest와 Enzyme을 사용한 단위 테스트 및 디버깅 방법
Jest와 Enzyme은 React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고 디버깅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아래는 Jest와 Enzyme을 사용한 단위 테스트 및 디버깅의 기본적인 절차와 팁에 대한 안내입니다. Jest와 Enzyme 설치: # Jest 및 기본 설정 설치 npm install --save-dev jest babel-jest @babel/preset-env @babel/preset-react # Enzyme 및 관련 패키지 설치 npm install --save-dev enzyme enzyme-adapter-react-16 enzyme-to-json Jest 설정: 프로젝트 루트에 jest.config.js 파일을 생성하고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module.exports = { testEnv..
2023.11.16 -
액션, 리듀서, 스토어의 역할 및 기본 상태 관리
액션, 리듀서, 스토어는 상태 관리를 위한 중요한 개념으로, 주로 Redux 라이브러리에서 사용됩니다. 1. 액션 (Action): 액션은 상태에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나타내는 객체입니다. 액션 객체는 type 필드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추가적인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 액션 예제 const incrementAction = { type: 'INCREMENT', amount: 1, }; const decrementAction = { type: 'DECREMENT', amount: 1, }; 2. 리듀서 (Reducer): 리듀서는 현재 상태와 액션을 받아서 새로운 상태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순수 함수로 작성되어야 하며, 이전 상태를 변경하지 않고 새로..
2023.11.16 -
라우팅 및 동적 라우팅의 개념
라우팅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특정 URL로 이동할 때, 해당 URL에 대응하는 화면이나 컴포넌트를 보여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액트에서는 주로 React Router를 사용하여 라우팅을 구현합니다. React Router: React Router는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 사이드 라우팅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주요 컴포넌트로 BrowserRouter, Route, Link 등이 있습니다. 1. BrowserRouter: import { BrowserRouter as Router, Route, Link } from 'react-router-dom'; const App = () => { return ( Home About Contact ); }; 2. Route: R..
2023.11.16 -
전역 상태 관리를 위한 Context API
React의 Context API는 전역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로, 컴포넌트 트리 전체에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Context를 사용하면 중첩된 여러 컴포넌트 간에 데이터를 손쉽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Context API를 사용한 간단한 예제입니다. 1. Context 생성: // MyContext.js import { createContext, useContext, useState } from 'react'; const MyContext = createContext(); const MyContextProvider = ({ children }) => { const [globalState, setGlobalState] = useState(''); c..
2023.11.16 -
useState와 useEffect의 기본 활용
useState와 useEffect는 React의 훅(hook) 중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두 가지입니다. 아래에서 간단한 예제를 통해 두 훅의 기본 활용을 살펴보겠습니다. useState의 기본 활용: useState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훅입니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Counter = () => { // count 상태와 setCount 업데이트 함수를 선언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return ( Count: {count} setCount(count + 1)}>Increment ); }; export default Counter; 위의 예제에서 u..
2023.11.16 -
삼항 연산자를 사용한 조건부 렌더링 및 동적 리스트 생성
React에서 삼항 연산자를 사용한 조건부 렌더링과 동적 리스트 생성은 자주 사용되는 패턴 중 하나입니다. 아래 예제를 통해 두 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삼항 연산자를 사용한 조건부 렌더링: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MyComponent = () => { const [isLoggedIn, setLoggedIn] = useState(false); return ( {isLoggedIn ? ( Welcome, User! ) : ( setLoggedIn(true)}>Log In )} ); }; export default MyComponent; 이 예제에서는 isLoggedIn 상태에 따라 환영 메시지 또는 로그인 버튼을 렌더링합니..
2023.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