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5)
-
Django ORM
Django의 가장 강력한 기능 중 하나는 바로 **ORM(Object Relational Mapper)**입니다. ORM은 개발자가 SQL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Django ORM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Django ORM이란?ORM(Object Relational Mapper)은 객체 지향 언어로 작성된 코드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이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관리해주는 기술입니다.ORM의 역할: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변환을 처리하여 SQL 쿼리를 작성하지 않아도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Django 모델 정의하기Django에서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Python 클래스 형태로 ..
2025.03.16 -
GitHub Actions로 CI/CD 구축하기
최근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는 지속적 통합(CI) 및 지속적 배포(CD)가 필수입니다. GitHub Actions는 이러한 CI/CD 파이프라인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Hub Actions를 사용하여 CI/CD 구축 방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GitHub Actions란?GitHub Actions는 GitHub에서 제공하는 자동화된 워크플로우 도구로, 소스 코드 빌드, 테스트, 배포와 같은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게 합니다.🔧 GitHub Actions의 작동 원리GitHub Actions는 워크플로우 파일을 이용해 작업을 수행합니다..github/workflows 폴더 안에 YAML 형식으로 작성된 워크플로우 파일을 추가하면 자동으로 감지하여 실행합니다.📌 ..
2025.03.16 -
웹훅(Webhook) 사용법
웹 개발이나 API를 다루다 보면 자주 듣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웹훅(Webhook)**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웹훅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웹훅(Webhook)이란?웹훅은 간단히 말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지정된 URL로 HTTP 요청을 자동으로 보내는 방식입니다. 즉, 이벤트 기반(event-driven)으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습니다.쉽게 표현하면, 웹훅은 특정 사건이 발생할 때 "알림"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웹훅(Webhook)의 작동 원리웹훅의 작동 과정은 매우 간단합니다.이벤트 발생회원가입, 결제 완료, 댓글 등록 등 특정 상황이 발생하면 이벤트가 생성됩니다.웹훅 ..
2025.03.16 -
Django와 FastAPI 비교
파이썬 웹 프레임워크를 공부할 때 자주 언급되는 두 가지 프레임워크가 바로 Django와 FastAPI입니다. 이 둘은 비슷한 듯 보이지만 특징과 사용법이 다르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 Django란?1️⃣ Django 개요출시년도: 2005년특징: 완벽한(full-stack) 웹 프레임워크로, 관리 패널(Admin), 인증(Auth), ORM(데이터베이스 연동) 등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목적: 빠르고 효율적으로 웹 사이트 개발 가능2️⃣ Django의 장점기본 기능(인증, 관리 화면, 보안)이 잘 구성되어 있어 개발 속도가 빠릅니다.ORM(Object-Relational Mapping)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편리하게 관리합니다.보안에 강력하며, 널리 쓰여 커뮤니..
2025.03.16 -
Django 트랜잭션(Transaction) 이해 및 활용법
Django 트랜잭션이란?Django 트랜잭션(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 작업의 논리적 단위입니다. 트랜잭션 내의 모든 데이터베이스 연산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을 때만 데이터를 커밋(commit)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롤백(rollback)하여 이전 상태로 복원합니다. 이는 데이터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입니다.Django에서 트랜잭션이 필요한 이유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동시에 여러 요청이 처리됩니다. 데이터베이스 작업 중 하나라도 실패하면 관련 데이터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Django의 트랜잭션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데이터의 일관성 유지동시 접근으로 인한 데이터 충돌 방지복잡한 작업 중 일부가 실패해도 시스템의 안정성 보장Django에서 트랜잭..
2025.03.15 -
RESTful API란? 개념부터 활용까지 완벽 정리
RESTful API는 현대 웹 개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API 설계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STful API의 정의, 특징, 구성 요소를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RESTful API의 정의RESTful API란 웹상에서 자원을 주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API를 의미합니다.REST는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자원(Resource)을 URI로 표현하고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를 통해 자원에 접근하고 조작합니다.📌 RESTful API의 특징RESTful API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자원 중심(Reso..
2025.03.15